맨위로가기

명성황후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명성황후》는 2001년부터 2002년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명성황후의 삶을 다룬 작품이다. 윤창범과 신창석이 연출하고 정하연이 극본을 맡았으며, 최명길, 이미연, 유동근 등이 출연했다. 2001년 KBS 연기대상에서 이미연, 김성환, 김보미 등이 수상했으며, 2002년 백상예술대상에서 유동근이, KBS 연기대상에서 유동근, 최명길, 김성령 등이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10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124부작으로 연장 방영되었으며, 조수미가 부른 OST '나 가거든' 등이 인기를 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성황후를 소재로 한 작품 - 찬란한 여명
    찬란한 여명은 1995년부터 1996년까지 KBS1에서 방영된 조선 말기 개화 운동과 정치적 격변기를 다룬 유홍기 중심의 대하드라마로, 흥선대원군, 명성황후, 고종, 김옥균, 박영효 등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렸다.
  • 명성황후를 소재로 한 작품 - 불꽃처럼 나비처럼
    격변하는 조선 시대, 자객 출신 호위무사 무명이 명성황후가 될 민자영을 사랑하며 헌신하는 이야기를 그린 김용균 감독의 2009년 영화로, 조승우, 수애 등이 출연했다.
  • 흥선대원군을 소재로 한 작품 - 운현궁의 봄
    《운현궁의 봄》은 1948년 한성도서에서 처음 출간된 이후 여러 출판사에서 다양한 판본으로 출간된 도서이다.
  • 흥선대원군을 소재로 한 작품 - 찬란한 여명
    찬란한 여명은 1995년부터 1996년까지 KBS1에서 방영된 조선 말기 개화 운동과 정치적 격변기를 다룬 유홍기 중심의 대하드라마로, 흥선대원군, 명성황후, 고종, 김옥균, 박영효 등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렸다.
  • 한성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미스터 션샤인
    《미스터 션샤인》은 신미양요부터 1900년대 초 격동의 조선을 배경으로 노비 출신 미국 해병대 장교 유진 초이와 의병 고애신의 사랑, 조국을 위한 투쟁을 그린 드라마로, 높은 시청률과 인기 속에 역사 왜곡 논란도 있었다.
  • 한성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대명 (드라마)
    대명은 효종 시대의 조선을 배경으로 민족의 긍지를 되살리고자 기획된 드라마로, 효종의 지도력과 국력 신장 정책, 그리고 조선 왕족, 문무백관, 청나라와 명나라 인물들의 갈등을 그리고 있다.
명성황후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명성황후
명성황후
장르사극
극본정하연
연출윤창범, 신창석
출연이미연, 최명길, 이진우, 유동근
오프닝 테마(정보 없음)
엔딩 테마"나 가거든" - 조수미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방송 분량60분
방송 시간수요일, 목요일 21:50 (KST)
제작사삼화네트웍스, GM Agency
방송 채널KBS2
첫 방송2001년 5월 9일
마지막 방송2002년 7월 18일
제작진
기획엄기백 (KBS 드라마본부)
책임 프로듀서이응진 (KBS 드라마운영팀)
프로듀서윤용훈
제작GM기획, 삼화네트웍스
기타 정보
횟수124부작
고화질 방송 여부아날로그 제작·방송(1화 ~ 68화,2001.5/9~12/27일), SD 제작·방송(69화 ~ 124화,2002.1/2~7/18일)
외부 링크KBS 명성황후 홈페이지

2. 방송 정보

KBS 2TV에서 수목 드라마로 방송되었다.[8] 극본은 정하연 작가가, 연출은 윤창범, 신창석 PD가 맡았으며, 제작은 삼화네트웍스에서 담당했다.[8] 당초 10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24부작이 연장되었다.[9]

2. 1. 방송 채널

방송 채널방송 기간방송 시간
KBS 2TV2001년 5월 9일 ~ 2002년 1월 10일매주 수요일, 목요일 밤 9시 50분 ~ 10시 50분
2002년 1월 16일 ~ 2002년 7월 18일매주 월요일 ~ 금요일 밤 9시 50분 ~ 11시



KBS의 수목 드라마 시간대에 방송되었다.

2. 2. 방송 기간

방송 채널방송 기간방송 시간
KBS 2TV2001년 5월 9일 ~ 2002년 1월 10일매주 수요일, 목요일 밤 9시 50분 ~ 10시 50분
2002년 1월 16일 ~ 2002년 7월 18일매주 월요일 ~ 금요일 밤 9시 50분 ~ 11시



KBS의 수목 드라마 시간대에 방송되었다.

2. 3. 방송 시간

방송 채널방송 기간방송 시간
KBS 2TV2001년 5월 9일 ~ 2002년 1월 10일매주 수요일, 목요일 밤 9시 50분 ~ 10시 50분 (1시간)
2002년 1월 16일 ~ 2002년 7월 18일매주 월요일 ~ 금요일 밤 9시 50분 ~ 11시 (1시간 10분)



KBS 2TV를 통해 수목 드라마 시간대에 방송되었다.[8]

3. 제작진

역할담당
연출윤창범, 신창석[8]
극본정하연[8]
해설설영범


3. 1. 연출

윤창범, 신창석이 연출을 맡았다[8]。 2001년 KBS 연기대상에서 윤창범은 올해의 PD상을 수상했다[12]

3. 2. 극본

정하연이 극본을 썼다.[8]

3. 3. 해설

설영범이 해설을 맡았다.

4. 등장인물

이미연최명길(아역 : 문근영)[38], 이진우(아역 : 이인), 유동근 등 유명 배우들이 대거 출연하여 열연을 펼쳤다.

드라마 전반에 걸쳐 주요 인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배역배우역할
명성황후이미연최명길[38] (아역 : 문근영)조선의 왕비이자, 대한제국의 황후.
고종이진우 (아역 : 이인)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흥선대원군유동근조선의 왕족이자 정치가.
대왕대비(조대비)/신정황후김용림조선의 왕족.
왕대비/효정왕후김정하조선의 왕비.
대비/철인왕후유혜영조선의 왕비.
세자(순종)백승우 (아역 : 이민호곽정욱)조선의 왕세자이자, 대한제국의 황태자.
세자빈(순명효황후)이유리 (아역 : 박은빈김소영)조선의 세자빈.
의화군강성민조선의 왕자.
이은(영친왕/의민태자)이풍운조선의 왕자.
귀인 이씨 (영보당)정선경조선의 후궁.
귀인 정씨 (보현당)김세아조선의 후궁.
순헌황귀비서미애조선의 후궁.
완화군강성현조선의 왕자.
이내관황범식고종의 최측근 내관.
강내관이건명성황후 처소인 중궁전의 내관.
홍상궁김보미명성황후의 최측근 상궁, 홍계훈의 여동생.
윤상궁홍여진신정왕후 조씨의 상궁.
중궁전 궁녀이지은명성황후의 궁녀.
대전상궁윤영주고종의 상궁.
영보당 이씨 처소 나인최영완귀인 이씨 (영보당)의 나인.



이 외에도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극을 풍성하게 만들었다.


  • 오페르트 도굴사건 관련 인물: 기정수(신철균 역)

  • 제너럴 셔먼호 사건 관련 인물: 장칠군(이팔행 역)

  • 독일: 이참(묄렌도르프 (목인덕) 역), 이종래 (에드워드 잡페 역)

  • 영국: 김린(이사벨라 비숍 역), 미상(윌리엄 에스던 역)

4. 1. 주요 인물

등장인물배우역할 및 설명
명성황후이미연최명길[38] (아역 : 문근영)조선의 왕비이자 대한제국의 황후, 고종의 정비.
고종이진우 (아역 : 이인)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흥선대원군유동근조선의 왕족이자 정치가, 고종의 아버지이자 명성황후의 시아버지.
대왕대비 (조대비) / 신정황후김용림조선의 왕족.
왕대비 / 효정왕후김정하조선의 왕비.
대비 / 철인왕후유혜영조선의 왕비.
세자 (순종)백승우 (아역 : 이민호곽정욱)조선의 왕세자이자 대한제국의 황태자.
세자빈 (순명효황후)이유리 (아역 : 박은빈김소영)조선의 세자빈.
의화군강성민조선의 왕자.
이은 (영친왕 / 의민태자)이풍운조선의 왕자.
귀인 이씨 (영보당)정선경조선의 후궁.
귀인 정씨 (보현당)김세아조선의 후궁.
순헌황귀비서미애조선의 후궁.
완화군강성현조선의 왕자.
이내관황범식고종의 최측근 내관.
강내관이건명성황후의 거처인 중궁전의 내관.
홍상궁김보미명성황후의 최측근 상궁, 홍계훈의 여동생.
윤상궁홍여진신정왕후 조씨의 상궁.
중궁전 궁녀이지은명성황후의 궁녀.
대전상궁윤영주고종의 상궁.
영보당 이씨 처소 나인최영완귀인 이씨 (영보당)의 나인.



명성황후흥선대원군은 정치적 대립 관계에 있었으며, 고종은 그 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을 보인다.

4. 1. 1. 명성황후

이미연(1, 10-81화) → 최명길(82-124화) (아역 : 문근영)[38]

여흥 민씨 출신으로 본관은 여흥, 성은 민씨이며, 경기도 여주에서 태어났다.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의 아버지였던 민유중의 5대손이자, 철종 때 신혜청낭청과 영주군수를 역임했던 민치록의 딸이다. 8세 때 고아가 되어 본가에서 가난하게 자라다가 흥선대원군의 부인인 부대부인 민씨의 추천으로 왕비에 간택되어 책봉되었다.

1882년 임오군란으로 궁궐을 탈출하여 화개동 윤태준의 집을 거쳐 충청북도 충주 장호원으로 피신하던 중 흥선대원군에 의해 중전의 국상이 선포되자, 윤태준을 고종에게 밀파하여 자신의 건재함을 알리고 청나라에 지원을 요청하였다. 청나라 군대의 출동으로 임오군란이 진압되자 청나라에 흥선대원군을 납치해 가도록 요청하고 민씨 정권을 재수립하였다. 1894년 흥선대원군의 재등장으로 갑오경장이 시작되자 러시아에 접근하여 일본 세력을 추방하려 하였다. 이에 일본공사 미우라 고로을미사변을 일으켜, 1895년 8월 2일 일본 낭인들을 궁중에 침입시켜 건천궁에서 그녀를 난자 시해하고 시신은 궁궐 밖으로 운반하여 소각하였다.

그 뒤 폐위되어 서인이 되었다가 10월에 복호되고, 1897년(광무 1년) '명성'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며, 그해 11월 국장으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 밖 홍릉에서 장사지냈다.

KBS와 당초 100회 분량으로 계약을 체결한 이미연은 높은 시청률로 인해 100회 이상으로 방송을 연장하려는 KBS의 제안을 거절하였다. KBS는 《명성황후》를 연장하면서 최명길을 캐스팅하여 배역을 맡겼다. 이미연의 마지막 출연분은 81회였고, 최명길은 82회부터 출연했다. 시청자들이 혼란스러워하지 않도록 이미연은 OST 뮤직 비디오 형식으로 죽는 장면을 연출했다.

4. 1. 2. 고종

조선 제26대 왕(재위 1863년 ~ 1907년)으로, 영조의 현손이자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둘째 아들이다.[38] 1863년(철종 14년) 12월, 철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조대비의 전교로 12세에 즉위하였다.[38]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기 때문에 조대비가 수렴청정을 하였으나, '대정을 협찬하게 한다'는 명분으로 정권이 대원군에게 넘어가면서 대원군의 10년 집정 시대가 시작되었다.[38]

고종은 명성황후흥선대원군 사이에서 갈등하며 고뇌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명성황후임오군란(1882년)으로 피신했을 때, 대원군이 명성황후의 국상(國喪)을 선포하자, 윤태준을 밀파하여 자신의 건재함을 알리고 청나라에 지원을 요청하도록 하였다.[38]

아역은 이인이, 성인 역은 이진우가 맡았다.[38]

4. 1. 3. 흥선대원군

영조의 직계 증손인 남연군의 넷째 아들로, 고종의 아버지이자 명성황후의 시아버지이다. 본명은 이하응이다. 둘째 아들인 이명복(고종)을 왕위에 올려 실권을 잡았다.[38] 안동 김씨의 세도 정치로 인해 피폐된 조선을 개혁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초기엔 백성들의 지지를 받았으나 경복궁 중건으로 민심이 이반되고, 서원 철폐로 유생들의 반감까지 사게 된다.[38]

최익현의 탄핵으로 실각한 이후 계속 명성황후의 민씨 세력과 대립한다.[38] 1882년 임오군란 당시 흥선대원군은 군인들의 폭동이 일어나 혼란한 상황에서 명성황후가 실종되자, 사망을 확인하지 않은 채 장례 준비를 진행했지만, 명성황후는 생존해 있었다.[21] 이후 대원군은 청군에 의해 납치되어 청나라에서 연금 상태에 놓인다.[21] 1885년 조선은 일본과 한성 조약을 체결하고, 일본에 사죄와 배상금 지불에 합의한다. 한편, 청나라에 납치되어 연금되었던 대원군은 조선으로 귀국한다.[21] 1895년 을미사변 당시 흥선대원군은 일본군에 의해 강제로 경복궁으로 연행된다.[21]

4. 2. 왕실 인물

김용림대왕대비 (조대비) / 신정황후 역을,[1] 김정하왕대비 / 효정왕후 역을,[2] 유혜영은 대비 / 철인왕후 역을,[3] 백승우(아역 : 이민호곽정욱)는 세자 (순종) 역을,[1] 이유리(아역 : 박은빈김소영)는 세자빈 (순명효황후) 역을,[1] 강성민은 의화군 역을,[4] 이풍운이은 (영친왕 / 의민태자) 역을,[4] 정선경귀인 이씨 (영보당) 역을,[4] 김세아는 귀인 정씨 (보현당) 역을,[4] 서미애는 순헌황귀비 역을,[4] 강성현은 완화군 역을 맡았다.[4]

4. 2. 1. 신정왕후 (조대비)

김용림신정왕후 역을 맡아 연기하였다. 신정왕후는 순조의 세자인 효명세자(익종으로 추존)의 부인이자 헌종의 어머니이다.[1] 풍양 조씨 세력의 수장으로 고종의 즉위에도 관여하였다.[1]

4. 2. 2. 효정왕후

남양 홍씨로 헌종의 왕비이다.[2]

4. 2. 3. 철인왕후

유혜영철인왕후를 연기했는데, 안동 김씨로 철종의 부인이다.[3]

4. 2. 4. 세자 (순종)

백승우 (아역 : 이민호곽정욱) : 순종 역. 대한제국의 마지막 군주. 고종과 명성황후 사이의 하나 밖에 없는 외아들로 세자에 책봉된다. 몸이 약하고, 유약한 성품을 지니고 있다.[1]

4. 2. 5. 세자빈 (순명효황후)

이유리 (아역 : 박은빈김소영)는 세자빈 (순명효황후)를 연기했다. 순종의 부인이며, 명성황후와 같은 여흥 민씨 출신의 세자빈이다.[1]

4. 2. 6. 의화군

강성민이 고종의 둘째 아들인 의화군 역을 맡았다.[4]

4. 2. 7. 이은 (영친왕 / 의민태자)

이은 (영친왕 / 의민태자)는 고종의 셋째 아들이다.[4]

4. 2. 8. 귀인 이씨 (영보당)

정선경귀인 이씨를 연기했다. 귀인 이씨는 고종의 후궁이다. 고종보다 나이가 많았으며, 상궁 신분으로 처음에는 청년기의 고종의 사랑을 독차지하여 완화군을 낳았다. 그러나 이후 명성황후의 투기로 인해 궁에서 쫓겨나게 된다.[4]

4. 2. 9. 귀인 정씨 (보현당)

김세아는 귀인 정씨를 연기했으며, 귀인 정씨는 고종의 후궁이다.[4]

4. 2. 10. 순헌황귀비

드라마 명성황후에서 서미애가 순헌황귀비역을 연기했다. 순헌황귀비는 고종의 후궁이자 영친왕의 생모로, 명성황후 사후 사실상 고종의 계비 역할을 하였다.[4]

4. 2. 11. 완화군

完和君중국어은 고종의 첫 아들이다. 그러나 열세 살의 어린 나이에 홍역으로 요절하였다.[4] 당시 왕세자(훗날의 순종)를 두고 있던 명성황후가 完和君중국어을 독살했다는 소문이 나돌기도 했다.[4]

4. 3. 내관과 궁녀

황범식은 고종의 최측근 내관으로 내관들의 우두머리인 상선 이내관 역을 맡았다.[1] 이건은 명성황후 처소인 중궁전의 내관 강내관 역을 맡았다.[1] 김보미는 명성황후의 최측근 상궁인 홍상궁 역을 맡았는데, 홍상궁은 홍계훈의 여동생이다.[1] 홍여진은 조대비의 상궁인 윤상궁 역을 맡았다.[1] 이지은은 중궁전 궁녀 역, 윤영주는 대전상궁 역, 최영완은 영보당 이씨 처소 나인 역을 맡았다.[4]

4. 3. 1. 이내관

황범식은 고종의 최측근 내관이자 내관들의 우두머리인 상선 이내관 역을 맡았다.[1]

4. 3. 2. 강내관

이건은 명성황후의 거처인 중궁전의 내관, 강내관 역을 연기했다.[1]

4. 3. 3. 홍상궁

명성황후의 최측근 상궁으로, 홍계훈의 여동생이다.[1]

배역명배우
홍상궁김보미


4. 3. 4. 윤상궁

조대비의 시녀이다.[1]

4. 3. 5. 중궁전 궁녀

이지은

4. 3. 6. 대전상궁

윤영주는 대전에서 근무하는 궁녀 역할을 맡았다.

4. 3. 7. 영보당 이씨 처소 나인

최영완은 영보당 이씨의 처소에서 근무하는 나인 역을 맡았다.[4]

4. 4. 운현궁 인물



흥선대원군 (유동근)은 영조의 직계 증손인 남연군의 넷째 아들로, 고종의 아버지이자 명성황후의 시아버지이다. 본명은 이하응이다. 이재면, 이명복(고종), 이재선과 딸 셋을 두었다. 이명복(고종)을 왕위에 올려 실권을 잡고, 외척들의 세도정치로 피폐된 조선을 개혁하고자 했다. 초기에는 백성들의 지지를 받았으나, 경복궁 중건으로 민심을 잃고 서원철폐로 유생들의 반감까지 샀다. 고종의 친정 욕구와 최익현의 탄핵으로 실각한 후, 명성황후의 민씨 세력과 대립했다.[38]

인물배역설명
여흥부대부인 민씨이덕희고종의 어머니이자 흥선대원군의 부인. 명성황후와 같은 여흥 민씨 집안이며, 민승호, 민겸호의 친누나이다.
이재면한범희흥선대원군의 장남.
이준용안승민흥선대원군의 장손자. 이재면의 아들.
천희연정진각흥선대원군의 심복.
장순규유종근흥선대원군의 심복.
하정일이기열흥선대원군의 심복.
안필주정진화흥선대원군의 심복.
허욱이경영흥선대원군의 심복.
장돌맹이김시원하정일을 죽인 주막집 손님
추월김혜선흥선대원군을 섬긴 소실.
옥선이현경
안기영이원용
이재선이우석흥선대원군의 서장자.
이풍래서영진
판돌어멈(박마르타)홍영자


4. 4. 1. 여흥부대부인 민씨

驪興府大夫人 閔氏|여흥부대부인 민씨중국어 (이덕희)[38]

: 흥선대원군의 부인이자 고종의 어머니. 명성황후와 같은 여흥 민씨 집안이며, 민승호, 민겸호의 친누나이다. 부대부인마님이라고 불렸다.

4. 4. 2. 이재면

흥선대원군의 장남으로, 아버지로부터 '소 같은 바보'라고 멸시당해 한때 외삼촌인 민승호 편에 가담했다.[38]

4. 4. 3. 이준용

흥선대원군의 장손이자 이재면의 아들이다. 고종의 정적이기도 했으며, 실제로 흥선대원군이 고종을 대신해 왕위에 세우려고도 했다.[38] 초기엔 반일적인 인물이었으나, 후에 골수 친일파로 변신한다.[38]

4. 4. 4. 천희연

정진각이 맡은 천희연은 흥선대원군의 심복이다.[38]

4. 4. 5. 장순규

유종근이 연기한 장순규는 흥선대원군의 심복이다.[38]

4. 4. 6. 하정일

이기열이 배역을 맡은 흥선대원군의 심복이다.[38]

4. 4. 7. 안필주

흥선대원군의 심복들이다.[38]

4. 4. 8. 장돌맹이

김시원 : 하정일을 죽인 주막집 손님[38]

4. 4. 9. 추월

김혜선흥선대원군을 섬긴 소실 추월 역을 연기했다.[38]

4. 4. 10. 옥선

이현경 : 옥선 역

4. 4. 11. 허욱

이경영흥선대원군의 심복 허욱을 연기했다.[38]

4. 4. 12. 안기영

이원용이 연기하였다.

4. 4. 13. 이재선

흥선대원군의 서장자로,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되었다.[38]

4. 4. 14. 이풍래

서영진이 이풍래 역을 맡았다.

4. 4. 15. 판돌어멈 (박마르타)

홍여진은 판돌어멈(박마르타) 역을 연기했으나, 작중 등장인물은 아니다.

4. 5. 사건 관련 인물



'''왕족'''

'''궁궐/내명부'''

  • 황범식 - 이 상궁 (고종의 시녀)
  • 이건 - 강 상궁 (명성황후의 시녀)
  • 김보미 - 홍 상궁 (홍계훈의 여동생)
  • 홍여진 - 윤 상궁 (조대비의 시녀)
  • 이지은 - 중궁전 궁녀
  • 윤영주 - 대전 궁녀
  • 최영완 - 이귀인의 시녀
  • 홍일권 - 홍계훈 (홍 상궁의 오빠)


'''명성황후의 가족/여흥 민씨'''

  • 선우은숙 - 감고당 이씨 (민자영의 어머니이자 민치록의 부인)[5]
  • 이도련 - 민치록 (민자영의 아버지)
  • 김효원 - 민승호 (명성황후의 양 오빠)
  • 김성한 - 민겸호 (명성황후의 양 숙부)
  • 현석 - 민태호 (순명황후의 아버지)
  • 김병세 - 민규호
  • 김봉근 - 민영위 (명성황후의 먼 친척)
  • 김광영 - 민영익 (순명황후의 오빠)
  • 김영기 - 민응식


'''운현궁'''

  • 이덕희 - 여흥부대부인 (흥선대원군의 부인이자 고종의 어머니)
  • 한범희 - 이재면
  • 안승민 - 이준용 (흥선대원군의 손자이자 고종의 조카)
  • 정진각 - 천희연 (흥선대원군의 심복)
  • 유종근 - 장순규 (흥선대원군의 심복)
  • 이기열 - 하정일 (흥선대원군의 심복)
  • 정진화 - 안필주 (흥선대원군의 심복)
  • 이경영 - 허 옥 (흥선대원군의 심복)
  • 김혜선 - 추월 (흥선대원군의 첩)
  • 이현경 - 옥산
  • 이원용 - 안기영
  • 이우석 - 이재선


'''확대된 등장인물'''

  • 이영후 - 흥인군 (흥선대원군의 형)
  • 엄유신 - 흥인군의 부인
  • 전인택 - 이용익
  • 김상순 - 조두순
  • 최상훈 - 조영하 (조대비의 5촌 조카)
  • 송재호 - 김좌근 (철인왕후의 친척이자 안동 김씨의 수장)
  • 박영지 - 김병학
  • 정성모 - 김병기 (김좌근의 양자)
  • 박철호 - 김병국 (김병학의 남동생)
  • 임병기 - 김병시
  • 권기선 - 김병시의 부인
  • 김주영 - 이경하
  • 허기호 - 이재원 (흥선대원군의 조카이자 고종의 사촌)
  • 전성환 - 신헌
  • 윤선철 - 이유원
  • 윤덕용 - 홍순목 (홍영식의 아버지. 아들이 갑신정변에서 살해당하자 자살한다.)
  • 이신재 - 심순택
  • 서권순 - 심순택의 부인
  • 박칠용 - 강로
  • 김인태 - 신응조
  • 양영준 - 정기회
  • 김경하 - 양현수
  • 유병준 - 한규원
  • 강만희 - 윤웅렬
  • 허현호 - 박규수
  • 장기용 - 김윤식
  • 김형일 - 어윤중
  • 김태기 - 김홍집
  • 강인기 - 이완용
  • 이대로 - 최익현
  • 김린 - 이경하


'''일본 공사관 사람들'''

'''청나라 인물'''

  • 남일우 - 이홍장
  • 박진성 - 위안스카이
  • 박경득 - 오창경
  • 권혁호 - 정여창
  • 박용식 - 마건충
  • 정봉연 - 주복
  • 문회원 - 오조유
  • 이종구 - 여석창
  • 나한일 - 장패륜
  • 나기수 - 장수성
  • 조인포 - 섭지초
  • 김무생 - 이청풍
  • 이재룡 - 진수당
  • 김강일 - 아싱가라 혁혜
  • 전일범 - 황준헌


'''독일 인물'''

  • 이참 - 파울 묄렌도르프 (일명 목인덕, 민씨 가문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외교와 재정을 담당했던 독일인.)
  • 이종래 - 에드워드 재페 (독일 영사)


'''러시아 인물'''

  • ? -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 (러시아 군인)
  • ? - 카를 이바노비치 베버 (제정 러시아를 통해 조선에서의 러시아 세력 확장을 꾀한다. 명성황후가 친러적으로 기울자 적극 협력하고(무기 수입 논의), 을미사변 때 소극적인 태도를 일관한다. 이후 아관파천이 일어나자 친러 내각을 이끌며 한국에서의 이권을 얻으려 한다.)
  • ? - 베버의 아내
  • 김진아 - 마리 손탁 (독일계 러시아 여성. 베버의 집행인이자 러시아 공사관 통역관. 베버 공과 명성황후가 무기 수입에 대해 논의하는 장면에서 유창한 러시아어를 구사한다.)


'''영국 인물'''

  • 김린 (린 루이스 김) - 이사벨라 버드 (조선 여행기를 쓴 영국 지리학자이자 작가. 에피소드 1의 첫 장면에, 조선 시대에 서투르지만 젓가락으로 밥을 먹는 서양 여성, 이사벨라 버드 비숍을 연기했다.)
  • ? - 윌리엄 에스덴 (영국 영사)


'''미국 인물'''

  • ? - 데이 (일본군 장교가 훈련시킨 훈련 부대를 해산시키고 새로 창설된 시위대의 훈련을 맡은 외국인 교관. 을미사변 당시 일본군에 맞서 시위대를 이끌었지만, 병력의 열세로 인해 패배하여 포로로 잡혔다.)
  • ? - 메리 F. 스크랜튼 (이화학당 (후에 이화여자대학교) 설립자)
  • ? - 파테우 (루시우스 푸트) (미국 기업 임원)
  • ? - 호러스 앨런 (감리교 선교사이자 의사)
  • ? - 양의 (의사)
  • ? - 프란시스 앤 (호러스 앨런의 부인)
  • ? - 데니 (목인덕의 후임이자 외교 고문)
  • ? - 닉슨

'''제117회'''

'''제118회''', '''제119회'''

'''제120회'''

'''제121회'''

4. 5. 1. 오페르트 도굴사건

기정수는 흥선대원군의 심복이었다.[1]

4. 5. 2. 제너럴 셔먼호 사건

1866년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가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와 통상을 요구하며 행패를 부리자, 평양 군민들이 셔먼호를 불태운 사건이 발생했다. 이때 박규수의 지휘 아래 이팔행 등이 이 사건에 참여했다.[38]

4. 5. 3. 임오군란


  • 김성화 - 민겸호(민씨 부인의 남동생)[5]
  • 맹호림 - 김보현
  • 이재연 - 김춘영
  • 김대환 - 유복만
  • 김진태 - 김정손
  • 김지복 - 유천만
  • 김태형 - 선혜청 관리
  • 윤관용 - 심상훈

4. 5. 4. 갑신정변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재필, 윤치호

4. 5. 5. 동학농민운동

4. 5. 6. 을미사변

1895년 10월 8일(음력 8월 20일) 새벽, 일본 낭인들이 경복궁에 침입하여 명성황후를 시해하는 을미사변이 일어났다.[38] 이 사건으로 홍계훈은 일본군에 저항하다 살해당했고,[38] 이경직도 일본군에 의해 살해당했다. 우범선, 윤석운 등은 을미사변에 가담한 인물들이다.

4. 6. 대원군 일가

유동근흥선대원군 이하응을 연기했다. 흥선대원군은 영조의 직계 증손인 남연군의 넷째 아들로, 고종의 아버지이자 명성황후의 시아버지이다. 본명은 이하응이며, 슬하에 흥친왕 이재면, 이명복, 완은군 이재선과 세 딸을 두었다.[1] 둘째 아들 이명복(고종)을 왕위에 올려 실권을 잡고, 외척 세력에 의해 피폐해진 조선을 개혁하고자 노력했다. 초기에는 백성들의 지지를 받았으나, 경복궁 중건으로 민심을 잃고 서원철폐로 유생들의 반감까지 사 최익현의 탄핵으로 실각했다. 이후에도 명성황후의 민씨 세력과 계속 대립했다.[1]

이덕희는 흥선대원군의 부인이자 고종의 어머니인 여흥부대부인을 연기했다. 한범희흥친왕 이재면을, 안승민은 흥선대원군의 손자이자 고종의 조카인 이준용을 연기했다.[1]

흥선대원군의 심복으로는 정진각(천희연 역), 유종근(장순규 역), 이기열(하정일 역), 정진화(안필주 역), 이경영(허옥 역)이 출연했다. 김혜선은 흥선대원군의 첩 추월을, 이현경은 옥산을 연기했다. 그 외 기정수는 신철균, 이원용은 안기영, 이우석은 완은군 이재선을 연기했다.[1]

4. 6. 1. 흥인군

이영후흥선대원군의 형인 흥인군을 연기했다.

4. 6. 2. 흥인군의 처

이영후흥선대원군의 형 흥인군을 연기했다.[1] 엄유신은 흥인군의 부인을 연기했다.[1]

4. 7. 명성황후 일가

대행왕후(명성황후)여흥 민씨로, 인현왕후의 아버지 민유중의 5대손이자 민치록의 딸이다. 8세 때 고아가 되어 흥선대원군의 부인 부대부인 민씨의 추천으로 왕비에 간택되었다.[38] 1882년 임오군란으로 궁궐을 탈출, 충주 장호원으로 피신하던 중 흥선대원군에 의해 국상이 선포되자 고종에게 자신의 건재함을 알리고 청나라에 지원을 요청했다. 청나라 군대의 출동으로 임오군란이 진압되자 청에 흥선대원군을 납치해 가도록 요청하고 민씨정권을 재수립하였다.[38] 1894년 흥선대원군의 재등장으로 갑오경장이 시작되자 러시아에 접근하여 일본 세력을 추방하려 하였다. 이에 미우라 고로을미사변을 일으켜 일본 낭인을 궁중에 침입시켜 건천궁에서 그녀를 시해하고 시신은 궁궐 밖으로 운반하여 소각하였다.[38]

인물배역비고
대행왕후(명성황후)이미연최명길[38] (아역 : 문근영)민유중의 5대손이자 민치록의 딸
민겸호김성한명성황후의 양 숙부


4. 7. 1. 감고당 이씨

선우은숙 - 감고당 이씨; 민자영의 어머니이자 민치록의 부인[5]

4. 7. 2. 민치록

명성황후의 아버지 민치록은 본관은 여흥 민씨이며,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의 아버지 민유중의 5대손이다. 철종 때 신혜청낭청과 영주군수를 역임하였다.[38]

4. 7. 3. 민승호

김효원이 민승호 역을 연기하였다.[5] 명성황후의 양 오빠이다.

4. 7. 4. 민태호

현석은 순명황후의 아버지 민태호 역을 맡았다.[5]

4. 7. 5. 민규호

김병세명성황후에서 민규호 역을 맡았다.

4. 7. 6. 민영위

김봉근명성황후의 먼 친척 민영위를 연기했다.[5]

4. 7. 7. 민영익

드라마 명성황후에서 김광영은 순명황후의 오빠이자 민씨 정권의 척신 민영익을 연기했다.[38]

4. 7. 8. 민응식

김영기와 함께 민씨 정권의 척신으로 등장한다.[38]

4. 7. 9. 이용익

전인택이 연기한 이용익은 본래 보부상 출신으로, 민씨 정권 아래서 여러 관직을 거쳤다.

4. 8. 풍양 조씨

조대비는 풍양 조씨김용림이 연기했다.[1] 철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고종을 왕위에 올리고 수렴청정을 하였다.

4. 8. 1. 조두순

김상순은 드라마에서 조두순 역을 맡았다.

4. 8. 2. 조영하

조대비의 5촌 조카로, 최상훈이 연기했다.[1]

4. 9. 안동 김씨

송재호김좌근 역을 맡아 철인왕후의 친척이자 안동 김씨의 수장으로 등장한다.[38] 박영지는 김병학 역을, 정성모는 김좌근의 양자인 김병기 역을,[38] 박철호는 김병학의 남동생 김병국 역을 연기했다.[38] 임병기는 김병시 역을 맡았는데, 김병시는 김좌근, 김병학, 김병기, 김병국과 같은 항렬의 친족이다.[1] 권기선은 김병시의 부인 역을 맡았다.[38]

배우배역설명
송재호김좌근철인왕후의 친척이자 안동 김씨의 수장[38]
박영지김병학안동 김씨 일원[1]
정성모김병기김좌근의 양자[38]
박철호김병국김병학의 남동생[38]
임병기김병시김좌근, 김병학, 김병기, 김병국과 같은 항렬의 친족[1]
권기선김병시의 처김병시의 부인[38]


4. 9. 1. 김좌근

송재호 - 김좌근; 철인왕후의 친척이자 안동 김씨의 수장[1]

4. 9. 2. 김병학

안동 김씨의 일원이다.[1]

4. 9. 3. 김병기

4. 9. 4. 김병국

박철호가 연기한 김병국은 김병학의 남동생이다.[38]

4. 9. 5. 김병시

임병기는 김병시 역을 맡았다. 김병시는 김좌근의 양자인 김병기, 김병학의 남동생인 김병국과 더불어 김병학 형제와 같은 항렬의 친족으로, 안동 김씨 가문의 일원이다.[1]

4. 9. 6. 김병시의 처

권기선은 김병시의 부인 역을 맡았다.[38]

4. 9. 7. 김기수

송재호가 연기한 김좌근은 철인왕후의 친척이자 안동 김씨의 수장이며,[38] 정성모가 연기한 김병기는 김좌근의 양자이다.[38]

배우배역설명
송재호김좌근철인왕후의 친척이자 안동 김씨의 수장[38]
정성모김병기김좌근의 양자[38]


4. 10. 대한제국 수립 관련 인물


: 본관은 여흥 민씨이며,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의 아버지였던 민유중의 5대손이자 민치록의 딸이다. 8세 때 고아가 되어 가난하게 자랐으나, 흥선대원군의 부인인 부대부인 민씨의 추천으로 왕비에 간택되었다. 1882년 임오군란으로 궁궐을 탈출, 충주 장호원으로 피신하던 중 흥선대원군에 의해 국상이 선포되자 고종에게 밀사를 파견하여 자신의 건재함을 알리고 청나라에 지원을 요청하였다. 청나라 군대의 출동으로 임오군란이 진압되자 청에 흥선대원군을 납치해 가도록 요청하고 민씨정권을 재수립 하였다. 1894년 흥선대원군의 재등장으로 갑오경장이 시작되자 러시아에 접근하여 일본 세력을 추방하려 하였다. 이에 미우라 고로을미사변을 일으켜 일본 낭인을 궁중에 침입시켜, 건천궁에서 그녀를 시해하고 시신은 궁궐 밖으로 운반하여 소각하였다. 그 뒤 폐위되어 서인이 되었다가 복호되고 1897년(광무 1년) '명성'이라는 시호가 내려지고 국장으로 청량리 밖 홍릉에서 장사지냈다.
: 조선 제26대 왕 (재위 1863 ~ 1907). 영조의 현손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둘째 아들. 1863년 (철종 14년) 철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조대비의 전교로 12세에 즉위하였다. 어린 나이로 즉위하여 조대비가 수렴청정하였으나, 흥선대원군에게 정권이 넘어가 10년 집정 시대가 열렸다.
: 영조의 직계 증손인 남연군의 넷째 아들. 고종의 아버지이자 명성황후의 시아버지. 본명은 이하응이다. 이명복(고종)을 왕위에 올려 실권을 잡는다. 외척들의 세도 정치로 인해 피폐된 조선을 개혁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경복궁 중건, 서원 철폐등으로 민심과 유생들의 반감을 사게 된다. 최익현의 탄핵으로 실각하고 이후 명성황후의 민씨 세력과 대립한다.

'''왕족'''

'''궁궐/내명부'''

  • 황범식 - 이 상궁
  • 이건 - 강 상궁
  • 김보미 - 홍 상궁
  • 홍여진 - 윤 상궁
  • 이지은 - 중궁전 궁녀
  • 윤영주 - 대전 궁녀
  • 최영완 - 이귀인의 시녀
  • 홍일권 - 홍계훈


'''명성황후의 가족/여흥 민씨'''

'''운현궁'''

  • 이덕희 - 여흥부대부인
  • 한범희 - 이재면
  • 안승민 - 이준용
  • 정진각 - 천희연
  • 유종근 - 장순규
  • 이기열 - 하정일
  • 정진화 - 안필주
  • 이경영 - 허 옥
  • 김혜선 - 추월
  • 이현경 - 옥산
  • 기정수 - 신철균
  • 이원용 - 안기영
  • 이우석 - 이재선


'''임오군란 관련 인물'''

  • 김성화 - 민겸호
  • 맹호림 - 김보현
  • 이재연 - 김춘영
  • 김대환 - 유복만
  • 김진태 - 김정손
  • 김지복 - 유천만
  • 김태형 - 선혜청 관리
  • 윤관용 - 심상훈


'''갑신정변 관련 인물'''

'''동학 농민 운동 관련 인물'''

'''을미사변 관련 인물'''

  • 홍일권 - 홍계훈
  • 김준모 - 이경직
  • 오성열 - 우범선
  • 김봉근 - 윤석운
  • 윤태술 - 훈련대 군인


'''확대된 등장인물'''

  • 이영후 - 흥인군
  • 엄유신 - 흥인군의 부인
  • 전인택 - 이용익
  • 김상순 - 조두순
  • 최상훈 - 조영하
  • 송재호 - 김좌근
  • 박영지 - 김병학
  • 정성모 - 김병기
  • 박철호 - 김병국
  • 임병기 - 김병시
  • 권기선 - 김병시의 부인
  • 김주영 - 이경하
  • 허기호 - 이재원
  • 전성환 - 신헌
  • 윤선철 - 이유원
  • 윤덕용 - 홍순목
  • 이신재 - 심순택
  • 서권순 - 심순택의 부인
  • 박칠용 - 강로
  • 김인태 - 신응조
  • 양영준 - 정기회
  • 김경하 - 양현수
  • 유병준 - 한규원
  • 강만희 - 윤웅렬
  • 허현호 - 박규수
  • 장기용 - 김윤식
  • 김형일 - 어윤중
  • 김태기 - 김홍집
  • 이대로 - 최익현
  • 김린 - 이경하


'''일본 공사관'''

'''청나라'''

  • 남일우 - 리훙장
  • 박진성 - 위안스카이
  • 박경득 - 오창경
  • 권혁호 - 정여창
  • 박용식 - 마건충
  • 정봉연 - 주복
  • 문회원 - 오조유
  • 이종구 - 여석창
  • 나한일 - 장패륜
  • 나기수 - 장수성
  • 조인포 - 섭지초
  • 김무생 - 이청풍
  • 이재룡 - 진수당
  • 김강일 - 아싱가라 혁혜
  • 전일범 - 황준헌


'''독일'''

  • 이참 - 묄렌도르프
  • 이종래 - 에드워드 재페


'''러시아'''

'''영국'''

'''미국'''

  • ? - 데이
  • ? - 메리 F. 스크랜튼
  • ? - 파테우
  • ? - 호러스 앨런
  • ? - 양의
  • ? - 프란시스 앤
  • ? - 데니
  • ? - 닉슨

4. 10. 1. 박은식

주어진 소스에 박은식에 대한 내용은 나타나 있지 않다.

4. 10. 2. 이완용

강인기이완용을 연기하였다.

4. 10. 3. 이시영

주어진 원본 소스에서 '이시영'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없으므로, 이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다.

4. 10. 4. 이승만

이승만은 드라마 '명성황후'에 등장하지 않는다.

4. 11. 기타 인물

구분인물배우비고
왕족조대비김용림[1]
홍대비김정하[2]
철인왕후유혜영[3]
고종백승우
왕족
(고종의 후궁, 자녀)
어린 순종이태리, 곽정욱
순명황후이유리
어린 순명황후박은빈, 김수영
경주 이씨 귀인정선경[4]
덕수 장씨 귀인이재은
해평 정씨 귀인김세아
영월 엄씨 순헌황귀비서미애
완화군강성현이귀인의 아들
의화군강성민장귀인의 아들
어린 의화군김종호, 이풍운
영원군부인 김수덕이주은의화군의 부인
궁궐/내명부이 상궁황범식고종의 시녀
강 상궁이건명성황후의 시녀
홍 상궁김보미홍계훈의 여동생
윤 상궁홍여진조대비의 시녀
궁궐중궁전 궁녀이지은
명성황후
가족/여흥 민씨
감고당 이씨선우은숙민자영의 어머니이자 민치록의 부인[5]
민치록이도련민자영의 아버지
민승호김효원명성황후의 양 오빠
민겸호김성한명성황후의 양 숙부
민태호현석순명황후의 아버지
민규호김병세
민영위김봉근명성황후의 먼 친척
민영익김광영순명황후의 오빠
운현궁여흥부대부인이덕희흥선대원군의 부인이자 고종의 어머니
이재면한범희
이준용안승민흥선대원군의 손자이자 고종의 조카
천희연정진각흥선대원군의 심복
장순규유종근흥선대원군의 심복
하정일이기열흥선대원군의 심복
안필주정진화흥선대원군의 심복
허 옥이경영흥선대원군의 심복
추월김혜선흥선대원군의 첩
옥산이현경
신철균기정수
이재선이우석
임오군란민겸호김성화민씨 부인의 남동생
김보현맹호림
김춘영이재연
유복만김대환
김진태김정손
유천만김지복
선혜청 관리김태형
갑신정변김옥균이병옥
박영효차철수
홍영식이원희
서재필홍정옥
동학 농민 운동전봉준정병옥
동학군이계영
을미사변홍계훈홍일권홍 상궁의 오빠이자 임오군란 당시 명성황후를 보호했던 궁궐 호위 무사. 을미사변 당시 일본군에 저항하다 살해됨.
이경직김준모
우범선오성열
윤석운김봉근
훈련대 군인윤태술
확대된
등장인물
흥인군이영후흥선대원군의 형
흥인군의 부인엄유신
이용익전인택
조두순김상순
조영하최상훈조대비의 5촌 조카
김좌근송재호철인왕후의 친척이자 안동 김씨의 수장
김병학박영지
김병기정성모김좌근의 양자
김병국박철호김병학의 남동생
김병시임병기
김병시의 부인권기선
안기영이원용
심상훈윤관용
윤치호이기칠
대전 궁녀윤영주
이귀인의 시녀최영완
민응식김영기
강로박칠용[1]
신응조김인태
일본
공사관
사람들
구로다 기요타카이일웅
하나부사 요시타다서상익
이노우에 가오루박근형
미우라 고로임혁
오카모토 류노스케김병기
이토 히로부미윤주상
무쓰 무네미쓰강태기
사이온지 긴모치김하균
다케조 신이치로김상순
시바 시로/도카이 산시이도련
미치코김성령
일본인 사사키정의갑
청나라
인물
이홍장남일우
위안스카이박진성
오창경박경득
정여창권혁호
마건충박용식
주복정봉연
오조유문회원
여석창이종구
장패륜나한일
장수성나기수
섭지초조인포
이청풍김무생
진수당이재룡
독일
인물
묄렌도르프이참민씨 가문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외교와 재정을 담당했던 독일인.
에드워드 재페이종래독일 영사
러시아
인물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러시아 군인
카를 이바노비치 베버?제정 러시아를 통해 조선에서의 러시아 세력 확장을 꾀한다. 명성황후가 친러적으로 기울자 적극 협력하고(무기 수입 논의), 을미사변 때 소극적인 태도를 일관한다. 이후 아관파천이 일어나자 친러 내각을 이끌며 한국에서의 이권을 얻으려 한다.
마리 손탁김진아독일계 러시아 여성. 베버의 집행인이자 러시아 공사관 통역관.
영국
인물
이사벨라 버드김린조선 여행기를 쓴 영국 지리학자이자 작가. 에피소드 1의 첫 장면에 출연.
윌리엄 에스덴?영국 영사
미국
인물
데이?일본군 장교가 훈련시킨 훈련 부대를 해산시키고 새로 창설된 시위대의 훈련을 맡은 외국인 교관. 을미사변 당시 일본군에 맞서 시위대를 이끌었지만, 병력의 열세로 인해 패배하여 포로로 잡혔다.
메리 F. 스크랜튼?이화학당 설립자
파테우?미국 기업 임원
호러스 앨런?감리교 선교사이자 의사
양의?의사
프란시스 앤?호러스 앨런의 부인
데니?목인덕의 후임이자 외교 고문
닉슨?

4. 11. 1. 이경하

김주영이 이경하 역을 연기하였다.

4. 11. 2. 이재원

허기호는 드라마 명성황후에서 흥선대원군의 조카이자 고종의 사촌인 이재원을 연기했다.

4. 11. 3. 신헌

드라마 명성황후에서 전성환은 신헌 역을 맡았다.

4. 11. 4. 윤자승

원문 자료에 윤자승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4. 11. 5. 이유원

윤선철은 이재원의 친구 역할로 등장하며, 배우 허기호가 윤선철 역을 연기했다.[38]

4. 11. 6. 홍순목

윤덕용은 홍영식의 아버지이다. 아들 홍영식이 갑신정변에서 살해당하자 자살한다.[38]

4. 11. 7. 심순택

이신재는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드라마 명성황후에서 심순택 역할을 맡았다.

4. 11. 8. 심순택의 처

서권순이 연기한 심순택의 부인은 심순택의 아내이다.[1]

4. 11. 9. 강로

박칠용이 강로 역을 맡았다.[1]

4. 11. 10. 신응조

김인태가 연기하였다.

4. 11. 11. 정기회

양영준 - 정기회

4. 11. 12. 양헌수

김경하는 드라마 《명성황후》에서 양현수 역을 맡았으나, 극 중에서 그의 구체적인 행적이나 역할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4. 11. 13. 한계원

주어진 소스에 '한계원'이라는 인물은 등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섹션에 작성할 내용은 없다.

4. 11. 14. 윤웅렬

드라마 명성황후에서 강만희가 윤웅렬 역을 연기했다.

4. 11. 15. 박규수

허현호가 연기하였다.

4. 11. 16. 김윤식

장기용은 김윤식 역을 맡았다.

4. 11. 17. 어윤중

김형일은 어윤중 역을 맡았다.

4. 11. 18. 김홍집

김태기는 극중 김홍집 역을 연기했다.

4. 11. 19. 최익현

이대로는 드라마 《명성황후》에서 최익현 역을 맡았다.

4. 11. 20. 홍종우

홍종우는 '확대된 등장인물' 섹션에 추가된 인물이다.

4. 12. 일본 인물



드라마에 등장하는 일본인들은 대부분 조선의 정세에 깊이 관여한 인물들이다. 이들은 일본 제국의 이익을 위해 활동하며, 명성황후를 비롯한 조선의 주요 인물들과 갈등을 빚는다.

4. 12. 1. 데라지마 무네노리

일본 외무대신이다.[38]

4. 12. 2. 구로다 기요타카

일본의 군인이자 정객이다. 조선강화도 조약을 체결한 특명전권별리대신이다.[38]

4. 12. 3. 하나부사 요시모토

서상익은 하나부사 요시모토를 연기했으며, 하나부사 요시모토는 일본 공사이다.

4. 12. 4. 이노우에 가오루

박근형드라마 명성황후에서 일본의 정객이자 공사인 이노우에 가오루 역을 연기했다.[38]

4. 12. 5. 미우라 고로

임혁이 연기한 미우라 고로을미사변을 주도한 일본 공사였다.[38] 명성황후러시아를 끌어들여 일본 세력을 추방하려 하자, 1895년 8월 20일 새벽 일본 낭인들을 경복궁에 침입시켜 명성황후를 시해하고 그 시신을 불태우는 만행을 저질렀다.[38] 이후 미우라 고로명성황후를 폐위시켜 서인으로 강등시켰다.[38]

4. 12. 6. 오카모토 류노스케

김병기가 연기한 오카모토 류노스케을미사변 관련 인물이다.[38] 일본군 포병장교로 조선 정탐 임무를 수행했다.[38] 흥선대원군을 존경하는 척하며 을미사변에 대원군을 반강제로 끌어들였다.[38]

4. 12. 7. 고무라 주타로

小村 壽太郎 역은 배우 강만희가 연기했다. 그는 윤웅렬 역도 함께 맡았다.[38]

4. 12. 8. 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는 일본의 정객이자 총리대신이었다.[38] 훗날 조선의 초대 통감으로 부임한다.[38]

4. 12. 9. 무쓰 무네미쓰

むつ むねみつ|무쓰 무네미쓰일본어 역은 강태기가 연기하였으나, 이후 김윤형으로 배우가 교체되었다. 김홍집 역과 같은 배우이다.

4. 12. 10. 사이온지 긴모치

西園寺 公望|사이온지 긴모치일본어는 일본의 정객이다.[38]

4. 12. 11. 미야모토 쇼이치

이원발드라마 명성황후에서 미야모토 쇼이치 역을 맡았다. 미야모토 쇼이치는 일본 공사관 인물이다.

4. 12. 12. 후쿠자와 유키치

박철민은 1895년 10월 8일 새벽 을미사변 당시 경복궁에 난입한 일본 낭인들 중 한 명으로 묘사되었다.[38]

4. 12. 13. 다케조에 신이치로

김상순드라마 명성황후에서 다케조에 신이치로와 조두순 역을 연기했다.[38]

4. 12. 14. 시마무라 히사시

박유승이 시마무라 히사시 역을 연기하였다.

4. 12. 15. 치토 세마루호 선장

이일웅은 치토 세마루호 선장 역을 맡았다. 그는 구로다 기요타카 역도 함께 맡았다.[38]

4. 12. 16. 무라카미

4. 12. 17. 시바 시로

도카이 산시|시바 시로|柴四朗일본어명성황후 살해를 목격하고 감명을 받아 시를 지은 일본인이다.[38]

4. 12. 18. 요시무라

요시무라는 일본공사관 서기관이다.[38]

4. 12. 19. 미치코 (고무라)

ミチコ일본어 (小村일본어)는 명성황후를 따르는 척하며 명성황후 살해 계획을 도운 일본인 여성이다.[38]

4. 12. 20. 사사키 마사유키

정의갑이 佐々木 政幸|사사키 마사유키일본어 역을 맡았다.

4. 12. 21. 히라야마 이와히코

平山 岩彦|히라야마 이와히코일본어명성황후에서 허동훈이 연기한 등장인물이다.

4. 12. 22. 게리마

정국진이 연기하였다.[38]

4. 12. 23. 미즈노 렌타로

水野 錬太郎|미즈노 렌타로일본어을미사변 가담자 중 한 명이다. 최준용이 배역을 맡았다.

4. 12. 24. 아다치 겐조

강성하는 드라마 《명성황후》에서 아다치 겐조 역을 맡았다.

4. 13. 청나라 인물

다음은 드라마 명성황후에 등장하는 청나라 인물들이다.

4. 13. 1. 이홍장

남일우는 드라마에서 이홍장 역을 맡았다. 이홍장은 청나라의 인물이다.

4. 13. 2. 위안스카이

박진성원세개 역을 맡았으며, 원세개는 청나라의 인물이다.[38]

4. 13. 3. 오장경

임오군란 진압에 큰 역할을 한 청나라 장수이다.[38]

4. 13. 4. 정여창 (청나라)

권혁호는 드라마에서 청나라의 인물인 정여창 역을 맡았다.[38]

4. 13. 5. 마건충

박용식이 마건충 역을 연기하였다.

4. 13. 6. 주복

정봉연이 주복 역을 맡았다.[38]

4. 13. 7. 오조유

문회원은 청나라 인물이다.[38]

4. 13. 8. 여서창

이종구는 극중에서 청나라 인물인 여서창 역을 맡았다.

4. 13. 9. 장패륜

명성황후(드라마)에서 나한일이 장패륜 역을 맡았다. 그는 청나라 인물이다.

4. 13. 10. 장수성

나기수는 드라마 ''명성황후''에서 청나라 인물 장수성 역을 맡았다. 그는 나한일이 연기한 장패륜과 함께 등장한다.[38]

4. 13. 11. 섭지초

조인표가 연기하였다.

4. 13. 12. 이경방

김무생이 연기하였다.

4. 13. 13. 진수당

이재룡이 연기한 등장인물로, 작중 배역 이름이다.

4. 13. 14. 애신각라 혁혜

김강일은 드라마 명성황후에서 애신각라 혁혜 역을 맡았다.[38]

4. 13. 15. 황준헌

드라마 명성황후에서 전일범황준헌 역을 연기했다. 황준헌은 청나라 인물이다.

4. 14. 독일 인물

이참드라마 명성황후에서 묄렌도르프(목인덕) 역을 맡았다.[38] 이종래는 독일 영사 에드워드 잡페 역을 연기했다.[38] 묄렌도르프는 민씨 정권의 지원을 받아 조선의 외교와 재정을 담당했다.

4. 14. 1. 목인덕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묄렌도르프(목인덕)는 민씨 정권의 지원을 받아 외교와 재정을 담당했던 독일인이다.[38]

4. 14. 2. 에드워드 잡페

이종래드라마 명성황후에서 독일 영사 에드워드 잡페 역을 연기했다.[38]

4. 15. 러시아 인물

드라마에 등장하는 러시아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 러시아 군인이다.
  • 카를 이바노비치 베버: 제정 러시아를 통해 조선에서 러시아 세력 확장을 꾀한 인물이다. 명성황후가 친러 정책을 추진하자 협력했다.
  • 베베르 부인: 손탁이라고도 불리며, 베베르의 집행인이자 러시아 공사관 통역관이었다.
  • 손탁: 독일계 러시아 여성으로 베베르의 집행인이자 러시아 공사관 통역관이었다.

4. 15. 1.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은 러시아 군인이다.[38]

4. 15. 2. 카를 베베르

카를 이바노비치 베버는 제정 러시아를 통해 조선에서의 러시아 세력 확장을 꾀한 인물이다. 명성황후가 친러 정책을 추진하자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무기 수입을 논의하기도 하였다.[38] 그러나 을미사변 당시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38] 아관파천 이후에는 친러 내각을 이끌며 한국에서의 이권을 얻으려 했다.[38]

4. 15. 3. 베베르 부인

베베르의 부인은 독일계 러시아 여성으로, 손탁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38] 베베르의 집행인이자 러시아 공사관 통역관이었다.[38] 베베르 공사와 명성황후가 무기 수입에 대해 논의하는 장면에서 유창한 러시아어를 구사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38]

4. 15. 4. 손탁 (앙투아네트 손탁)

Антуанетта Зонтаг|앙투아네트 손탁ru은 독일계 러시아 여성으로, 베베르의 집행인이자 러시아 공사관 통역관을 역임했다.[38] 베베르 공사와 명성황후가 무기 수입에 대해 논의하는 장면에서 유창한 러시아어를 구사하는 모습을 보였다.[38]

4. 16. 영국 인물

김린(린 루이스 김)은 이사벨라 버드를 연기했고, 윌리엄 에스던은 영국 영사로 등장한다.[38]

4. 16. 1. 이사벨라 버드 비숍

Isabella Bird|이사벨라 버드영어는 조선 여행기를 쓴 영국의 지리학자이자 작가이다.[38] 드라마의 첫 회에서 조선 시대에 서투르지만 젓가락으로 밥을 먹는 서양 여성으로 등장했다.

4. 16. 2. 윌리엄 에스던

이사벨라 버드는 김린 (린 루이스 김)이 연기했으며, 조선 여행기를 쓴 영국의 지리학자이자 작가이다. 에피소드 1의 첫 장면에 등장하여, 조선 시대에 서투르지만 젓가락으로 밥을 먹는 모습을 보여주었다.[38] 윌리엄 에스덴은 영국 영사이다.

4. 17. 미국 인물

드라마에는 훈련대를 해산시키고 시위대 훈련을 맡았던 데이, 이화학당(현 이화여자대학교) 설립자 메리 F. 스크랜튼, 미국 기업 임원 파테우(루시우스 푸트), 감리교 선교사이자 의사인 호러스 앨런과 그의 부인 프란시스 앤, 목인덕 후임 외교 고문 데니, 닉슨 등이 미국인으로 등장한다.

4. 17. 1. 매킨타이어 다이

미국인 데이는 일본군 장교가 훈련시킨 훈련대를 해산시키고 새로 창설된 시위대의 훈련을 맡은 외국인 교관이었다. 을미사변 당시 일본군에 맞서 시위대를 이끌었지만, 병력의 열세로 인해 패배하여 포로로 잡혔다.

4. 17. 2. 메리 스크랜튼

이화학당 (후에 이화여자대학교) 설립자이다.

4. 17. 3. 루시어스 푸트

파테우(루시우스 푸트)는 미국 기업 임원으로 등장한다.

4. 17. 4. 호러스 뉴턴 알렌

호러스 앨런미국 감리교 선교사이자 의사이다.

4. 17. 5. 어네스트 사토 (양의)

드라마 《명성황후》에는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 카를 이바노비치 베버 등 러시아인들과 호러스 앨런을 비롯한 미국인들이 등장한다. 이 중 양의는 의사로 활동했다.

4. 17. 6. 프린세스 앤 알렌

앨런의 부인은 프란시스 앤이다.

4. 17. 7. 오웬 데니

데니(Denny)는 목인덕의 후임으로 외교 고문을 맡았다.[38]

4. 17. 8. 로버트 닉슨

로버트 닉슨은 드라마 《명성황후》의 등장인물 중 하나로, 작중 미국인으로 묘사된다.

5. 수상 경력

wikitext

'''수상 경력'''
연도시상식상 이름수상자
2001년KBS 연기대상여자 최우수 연기상이미연
남자 조연상김성환
여자 조연상김보미
탤런트가 뽑은 올해의 PD상윤창범
2002년KBS 연기대상여자 조연상김성령
KBS 연기대상여자 최우수 연기상최명길
KBS 연기대상대상유동근
백상예술대상TV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유동근


5. 1. KBS 연기대상

연도상 이름수상자
2001년여자 최우수 연기상이미연
2001년남자 조연상김성환
2001년여자 조연상김보미
2001년탤런트가 뽑은 올해의 PD상윤창범
2002년여자 조연상김성령
2002년여자 최우수 연기상최명길
2002년대상유동근


5. 2. 백상예술대상

백상예술대상 수상 내역
연도수상자
2002년TV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유동근


6. 참고 사항


  • 일부 연기자가 현대물에 겹치기 출연하여 식상하다는 지적이 있었다.[39]
  • 조수미가 부른 《나 가거든》 등이 수록된 사운드 트랙은 30만 장 이상 판매되며 인기를 얻었다.[40]
  • 2005년 11월 2일부터 2006년 7월 25일까지 KBS 걸작선을 통해 재방영되었다.[45]
  • 불멸의 이순신》 후속으로 《서울 1945》가 제작비 문제로 보류되자, 《불멸의 이순신》 후속으로 재방송될 예정이었으나 시청자들의 반발과 내부 사정으로 무산되었다.[45]

6. 1. 제작 배경

KBS는 자체 제작 드라마였던 전작 《천둥소리》의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1995년 《인간의 땅》 이후 6년 만에 수목드라마를 외부에 제작 의뢰했다. 이는 《남편의 여자》, 《백색 미로》, 《인간의 땅》에 이어 네 번째로 KBS 수목드라마를 외부에 제작을 맡긴 것이었으며, 이들 중 수목 미니시리즈 형태가 아닌 것은 《인간의 땅》 이후 두 번째였다.[39]

당초 2001년 4월 18일에 첫 회가 방송될 예정이었으나, 명성황후 역의 캐스팅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41] 강수연, 이영애 등이 출연을 고사했고, 결국 이미연으로 결정되었다.[9] 이 때문에 KBS는 2주 동안 영화를 편성하여 대체했고,[42] 첫 회도 2001년 5월 9일로 연기되었다.

10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124부작으로 연장되면서 몇 가지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43]

6. 2. 캐스팅 논란

명성황후 역 캐스팅은 난항을 겪었다. 당초 2001년 4월 18일에 첫 회가 방송될 예정이었으나, 명성황후 역 캐스팅 문제로 어려움을 겪어 2001년 5월 9일로 첫 회가 연기되었다.[41][42] 강수연, 이영애가 출연을 고사하면서, 결국 이미연이 명성황후 역으로 결정되었다.[9]

이미연은 80회까지 출연 계약을 맺었지만,[11] 높은 시청률로 인해 KBS는 드라마를 100회 이상으로 연장하기를 원했다. 이미연은 계약 연장을 거부하고 81회까지만 출연하였고,[11] 82회부터는 최명길이 명성황후 역을 맡게 되었다.[11] 이러한 갑작스러운 주인공 교체는 시청자들의 불만을 샀으며, 시청률 저하를 초래했다는 언론의 분석도 있었다.[11] 시청자들의 혼란을 막기 위해, 이미연은 OST 뮤직비디오 형식으로 죽는 장면을 연출했다.

6. 3. 사운드 트랙

조수미가 부른 '나 가거든' 등이 수록된 사운드 트랙은 30만 장이 판매되는 등 인기를 누렸다.[40]

6. 4. 방영 연기

명성황후 역의 캐스팅 문제로 어려움을 겪어 당초 2001년 4월 18일로 예정되었던 첫 회 방영이 2001년 5월 9일로 연기되었다.[41] 이 때문에 KBS는 2주 동안 영화를 편성했다.[42]

6. 5. 회차 연장 논란

당초 10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124부작으로 연장되면서 논란이 있었다.[43] 당초 2002년 6월 4일에 종영 예정이었으나, 후속작 준비 미비로 인해 1달 늘어난 7월 18일에 막을 내렸다.[44]

6. 6. 종영 연기

당초 100부작으로 계획되었으나 124부작으로 연장되었고,[43] 2002년 6월 4일 종영 예정이었으나 후속작 준비 미비로 1달 늘린 7월 18일 막을 내렸다.[44]

6. 7. 재방영

2005년 11월 2일부터 2006년 7월 25일까지 KBS 걸작선으로 재방영되었다.[45]불멸의 이순신》 후속으로 《서울 1945》가 제작비 문제로 보류되자, 《불멸의 이순신》 후속 재방송이 예정되었으나 시청자들의 반발과 내부 사정으로 취소되었다.[45]

참조

[1] 문서 Formally known as "Queen Sinjeong of the Pungyang Jo clan".
[2] 문서 Identified as Queen Hyojeong of the Namyang Hong clan; Heonjong's Queen Consort
[3] 문서 Identified as Queen Cheorin of the Andong Kim clan; Cheoljong's wife
[4] 문서 Formally known as "Yi ''Gwi-in'' of the Yeongbo Hall".
[5] 문서 Formally known as "Hanchang, Princess Consort to the Internal Prince, of the Hansan Yi clan".
[6] 웹사이트 명성황후 https://program.kbs.[...] 2021-08-05
[7] 웹사이트 大河ドラマ 明成皇后 https://web.archive.[...] 2015-12-04
[8] 웹사이트 PORTFOLIO 명성황후 http://www.shnetwork[...] 2015-12-04
[9] 뉴스 [방송]KBS<명성황후>주인공 맡은 이미연 http://news.donga.co[...] 東亜日報 2001-04-10
[10] 웹사이트 大河ドラマ 明成皇后 企画意図 https://www.kntv.co.[...] 2015-12-04
[11] 뉴스 무리한 드라마늘리기 문제많다 http://entertain.nav[...] 聯合ニュース 2002-03-06
[12] 웹사이트 역대 수상자 2001 연기대상 http://www.kbs.co.kr[...] 2015-12-05
[13] 웹사이트 역대 수상자 2002 연기대상 http://www.kbs.co.kr[...] 2015-12-05
[14] 웹사이트 38회수상자·작품 http://isplus.live.j[...] 2015-12-05
[15] 웹사이트 명성황후(明成皇后) https://web.archive.[...] 2022-04-15
[16] 웹사이트 명성황후(明成皇后) http://www.kbs.co.kr[...]
[17] 웹사이트 명성황후(明成皇后)다시보기(再視聴) http://program.kbs.c[...] 2021-04-20
[18] 웹사이트 「明成皇后」のあらすじ https://kntv.jp/prog[...] 2022-04-14
[19] 문서 第3回。
[20] 문서 第5回。
[21] 문서 第2、8回。
[22] 문서 第7回。
[23] 문서 第9、10回。
[24] 웹사이트 출연 https://search.daum.[...] 2021-08-05
[25] 문서 第91-93回ほか。
[26] 웹사이트 강성현 http://movie.naver.c[...] NAVER 2017-09-13
[27] 웹사이트 완화군 完和君 https://terms.naver.[...] 2021-08-05
[28] 서적 韓国時代劇・歴史大辞典 学研パブリッシング 2011-09-13
[29] 문서 第88, 91-93回ほか。
[30] 문서 松村広行編、前掲書、167頁。
[31] 뉴스 KBS, 명성황후 캐스팅 끝내고 발진 http://legacy.www.ha[...] ハンギョレ
[32] 뉴스 [TV 하이라이트] 6월 20일 목요일 http://news.joins.co[...] 中央日報 2002-06-20
[33] 뉴스 [TV 하이라이트]5월 9일 목요일 http://news.joins.co[...] 中央日報 2002-05-08
[34] 문서 第100回ほか。
[35] 문서 第122回。
[36] 뉴스 [TV 하이라이트]3월 28일 목요일 http://news.joins.co[...] 中央日報 2002-03-27
[37] 웹사이트 明成(ミョンソン)皇后 (2001~2002) https://www.allcinem[...] 2021-08-05
[38] 문서
[39] 뉴스 "[방송가] KBS '명성황후' 무난한 출발 캐스팅이 발목"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8-04-26
[40] 뉴스 "'명성황후'가 얼어붙은 음반시장 불씨 지필까?"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18-04-26
[41] 뉴스 KBS<명성황후>주인공 맡은 이미연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6-08-02
[42] 뉴스 "[방송]KBS<명성황후>주인공 맡은 이미연"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5-08-22
[43] 뉴스 무리한 드라마늘리기 문제많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2-03-06
[44] 뉴스 최수종 `당당한 외도` http://www.joongang.[...] 중앙일보(일간스포츠) 2017-08-11
[45] 뉴스 “‘불멸의 이순신’ 후속작에 ‘징기스칸’ 방송” http://entertain.nav[...] 마이데일리 2017-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